10월 16일(목)
시간 | 세션 | 제 목 | 진행 / 연자 |
09:00~12:00 |
WS1 오전 |
검사법성능평가 Hands-on Workshop I ※ 대상: 대한임상화학회 정회원, 준회원 |
진행: 조은정(한림의대 동탄성심병원) |
인사말 | 윤여민(대한임상화학회 회장) | ||
실무를 위한 정밀도 및 직선성 이론 총정리 | 조은정(한림의대 동탄성심병원) | ||
현장에서 바로 쓰는 CLSI EP15: 실습과 사례로 익히는 정밀도 검정 |
권오주(중앙의대 광명병원) | ||
현장에서 바로 쓰는 CLSI EP6: 실습과 사례로 익히는 직선성 검정 |
유신애(인제의대 해운대백병원) | ||
12:00~13:00 | 점심 | ||
13:00~16:00 | WS1오후 |
검사법성능평가 Hands-on Workshop I ※ 대상: 체외진단의료기기 업계 종사자 |
진행: 조은정(한림의대) |
인사말 | 윤여민(대한임상화학회 회장) | ||
실무를 위한 정밀도 및 직선성 이론 총정리 | 조은정(한림의대 동탄성심병원) | ||
현장에서 바로 쓰는 CLSI EP15: 실습과 사례로 익히는 정밀도 검정 |
권오주(중앙의대 광명병원) | ||
현장에서 바로 쓰는 CLSI EP6: 실습과 사례로 익히는 직선성 검정 |
유신애(인제의대 해운대백병원) |
시간 | 세션 | 제 목 | 진행 / 연자 |
09:00~12:00 | WS2 |
AI 마스터클래스: Colab 을 이용한 Local LLM과 데이터분석 |
진행: 전병열(순쳔향의대 부천병원) |
Colab을 사용해 Local LLM 활용하기 | 이준형(GC녹십자의료재단) | ||
LLM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시각화와 데이터 분석 | 최종문(씨젠의료재단) | ||
12:00~13:00 | 점심 | ||
13:00~16:00 | WS3 |
임상화학 리뷰코스 Ⅱ |
진행: 정재우(동국의대 일산병원) |
임상화학분야에서의 검사정보시스템 소개: LIS는 어떻게 작동하나 – 개념부터 관련기술까지 |
박근열(인제의대 상계백병원) | ||
통계적 내부정도관리: 검사실을 위한 통계적 QC의 실용적 접근 |
김하늬(고려의대 구로병원) | ||
화학면역분석법: 임상화학검사실 속 면역측정법– 화학면역분석법을 읽는 눈 |
이혜영(가톨릭관동의대 국제성모병원) | ||
당뇨병의 진단 및 모니터링: 최신지견, 측정항목 표준화 및 SMBG와 CCGM |
안선현(GC녹십자의료재단) | ||
체액화학검사: 체액별 임상 화학 검사의 해석과 임상적 적용 |
임정훈(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) |
10월 17일(금) *메인 행사
시간 | 세션 | 제 목 | 좌장 / 연자 |
09:00~09:20 | 개회 | ||
개회사 | 윤여민(대한임상화학회 회장) | ||
축 사 (영상) |
신명근(대한진단검사의학회 이사장) |
||
감사패 증정 및 시상 | |||
09:20~10:50 | S1 | AI 와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 검사실의 구현과 발전 방향 |
좌장: 윤여민(대한임상화학회 회장), TBD |
AI 와 빅데이터 기반 검사 프로세스 자동화 및 효율성 증대 | 김솔잎(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) | ||
생성형 AI 및 AI 에이전트의 개요와 병원 현장의 활용 가능성 | 고태훈(가톨릭의대 의료정보학교실) | ||
생각하는 검사실: LLM과 에이전트가 여는 진단검사의 미래 | 최규태(충남의대 세종충남대병원) | ||
10:50~11:20 | 사진촬영, 전시 및 포스터 관람 | ||
11:20~12:50 | S2 | 알츠하이머병 바이오마커 최신지견 |
좌장: 이용화(순천향의대 부천병원), 박형두(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) |
알츠하이머병의 진단과 치료 현황 | TBD | ||
알츠하이머병 바이오마커의 도입 현황 및 전망: 뇌척수액에서 혈액으로 |
이상국(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) | ||
혈액 기반 알츠하아머병 바이오마커의 진단성능평가 연구 사례 및 경험 | 채효진(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) | ||
12:50~13:50 | EW | Education Workshop, 점심 | |
한국로슈진단 | TBD | ||
13:50~15:20 | S3 | 임상화학 검사를 위한 비교평가의 실제 |
좌장: 박필환(가천의대 길병원), 이우창(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) |
정도관리물질의 허용구간 설정 및 lot 변경 시 고려 사항 | 박현경(서울의과학연구소) | ||
시약/보정물질의 lot 동등성 평가의 실제와 활용 | 정태동(이화의대 이대서울병원) | ||
장비 및 방법 간 동등성 검정의 실제와 활용 | 이준희(서울의대 분당서울대병원) | ||
15:20~15:50 | 전시 및 포스터 관람 | ||
15:50~17:20 | S4 | 진단검사 표준화의 현재와 실무 대응 전략 |
좌장: 이은희(GC녹십자의료재단), 박민정(한림의대 강남성심병원) |
모든 검사를 표준화 해야 할까? : 임상적 중요성을 기반으로 한 우선순위 항목 발굴 |
오종원(서울의과학연구소) | ||
ALP 검사의 표준화와 검사결과의 해석: 실제 데이터를 통한 적용 사례 | 임용관(중앙의대 중앙대병원) | ||
간세포암 종양표지자로서의 PIVKA-II: 검사법 간 상관도와 표준화 필요성 | 김승환(이화의대 이대목동병원) | ||
17:20~17:30 | 폐회 |
시간 | 세션 | 제 목 | 좌장 / 연자 |
11:20~12:50 | S5 | 다양한 약물의 치료약물농도감시 최신지견 |
좌장: 이제훈(가톨릭의대 은평성모병원), 지미숙(중앙보훈병원) |
반코마이신 치료약물농도감시 업데이트 | 김현기(울산의대 울산대병원) | ||
테이코플라닌 치료약물농도감시 도입 |
장한밀(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) | ||
단클론 항체 약물 치료약물농도감시 소개 | 김상미(조선의대 조선대병원) | ||
12:50~13:50 | EW | Education Workshop, 점심 | |
지멘스 헬시니어스 | TBD | ||
13:50~15:50 | S6 | 임상질량분석 단기과정(I): 임상질량분석검사 부트캠프 |
좌장: 송정한(서울의대 분당서울대병원), 전사일(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) |
질량분석기의 원리와 질량분석 검사실의 운영 개요 | 이수연(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) | ||
질량분석검사 구축 시 데이터베이스 활용 가이드 | 윤승규(고려의대 안암병원) | ||
질량분석기 도입 및 질량분석 검사실 운영 시 고려사항 | 이경훈(서울의대 분당서울대병원) | ||
패널토의 |
패널: 윤승규, 이경훈, 이수연, 이용화, 조성은 |
||
15:50~16:20 | 전시 및 포스터 관람 | ||
16:20~17:20 | S7 |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이용한 데이터 분석 |
좌장: 송상훈(서울의대 서울대병원), 전병열(순천향의대 부천병원) |
TBD | TBD | ||
TBD | TBD | ||
TBD | TBD |